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HACOM 거더

개발배경

  • 강합성 거더 제작 중 프리스트레스 및 제작대 침하에 의한 비틀림 변형 발생
  • 긴장력 저하로 인한 재긴장 작업 시, 외부 노출 유지관리 강선 사용유지관리 비용 증가, 미관 저하
  • 지주식 문형 제작대 사용제작장 소요 면적 과다 및 설치 복잡, 대량 생산이 어려움

공법개요

균형받침틀을 사용하여 긴장 시 받침부 구속으로 인한 긴장력 손실을 최소화하고, 제작 중 비틀림변형 보정이 가능하여 좌굴 안전성을 높인 제작 공법으로, Hybrid Anchorage를 사용하여 정착부 응력집중 완화와 유지관리 성능을 향상시킨 프리스트레스된 강합성 거더

시공순서

STEP1 - 강재거더 제작
STEP2 - 균형제작대 거치
STEP3 - 철근 조립 및 쉬스관 설치
STEP4 - 콘크리트 타설 및 증기양생
STEP5 - 프리스트레스 도입
STEP6 - HACOM 거더 완성

공법비교

구분 HACOM 거더 Precom 거더 LF 합성거더
장·단점
  • - 긴장 시 받침부 구속으로 인한 응력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용제작대 (균형 받침틀) 사용
  • - 제작장 소요면적이 적고 설치 간단
  • - 제작대 병렬배치로 대량생산 가능
  • - 제작 중 비틀림 변형 조정이 가능해 정밀 제작 및 좌굴 안전성 향상
  • - 제작 시 자중을 강재가 부담하여 긴장재량 및 콘크리트 강도 감소
  • - 유지관리 정착구(측면가동정착구)로 유지 관리성 향상
  • - 유지관리 정착구가 측면에 위치하여 재긴 장 시 작업공간 확보 용이
  • - 문형제작대를 사용한 거푸집 매달기 공법으로 거푸집 레벨링 용이
  • - 제작 시 자중을 강재가 부담하여 긴장재량 및 콘크리트 강도 감소
  • - 다수의 실적 보유
  • - 제작장 소요면적이 넓고 설치 복잡
  • - 제작대 침하시 비틀림 변형 및 좌굴 발생 우려
  • - 유지관리 정착구가 없어 유지관리가 어려움
  • - 긴장 시 받침부 구속으로 인한 응력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전용제작대(멀티형 제작대) 사용
  • - 제작장 소요면적이 적고 설치 간단
  • - 제작대 병렬배치로 대량생산 가능
  • - 제작 시 자중을 강재가 부담하여 긴장재량 및 콘크리트 강도 감소
  • - 제작대 침하시 비틀림 변형 및 좌굴 발생 우려
  • - 유지관리 정착구가 없어 유지관리가 어려움

표준형고

  • Girder Bridge
경간장 20m 25m 30m 35m 40m 45m 50m 55m
형고 0.9m 1.0m 1.2m 1.3m 1.5m 1.8m 2.0m 2.3m
  • Jointless Bridge
경간장 20m 25m 30m 35m 40m 45m 50m 55m
형고 0.9m 1.0m 1.2m 1.3m 1.5m 1.8m 2.0m 2.3m